자동차 구조를 대분류로 나눈다면, 바디(Body)와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디와 섀시는 함께 자동차의 구조를 이룹니다. 바디는 승객을 보호하고 차량 외관을 담당합니다. 섀시는 차량의 기계적 부품을 통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서 가장 기본적인 자동차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차체(Body)
Body on Frame
강철 재질의 H형 프레임 위에 차체를 얹는 형식을 말합다. 무거운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로 대형 트럭 등에 사용됩니다.
서브프레임(Sub frame)
강철 프레임 없이 외형 철판이 용접되어 구조물을 지탱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초기에는 Monocoque로 불리었으나, 현재는 서브 프레임 역할을 하는 구조가 합쳐진 형태인 Uni-body(Semi-monocoque)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섀시(Chassis)
섀시는 차량 기본 구조로, 차량 주요 기계적 시스템을 통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1. 프레임(Frame)
프레임은 자동차의 구조적 기반으로, 모든 부품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대의 대부분의 자동차는 모노코크(monocoque) 또는 유니바디(unibody) 구조를 사용하며, 이는 프레임과 차체가 하나로 통합된 형태입니다. 전통적인 차량에서는 별도의 프레임과 차체가 존재하는 바디 온 프레임(body-on-frame) 구조가 사용되었습니다.
2. 서스펜션 시스템(Suspension System)
서스펜션 시스템은 도로의 충격을 흡수하고, 타이어가 도로와의 접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주로 스프링, 댐퍼(쇼크 업소버), 그리고 링크(팔)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함께 작동하여 승차감과 조종성을 향상합니다.
3.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스티어링 휠을 돌리면, 그 움직임이 기어와 링크를 통해 타이어로 전달되어 차량의 방향이 바뀝니다. 현대 차량에서는 전자식 스티어링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며, 이는 더 정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4. 브레이크 시스템(Braking System)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주로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로 구성되며, 현대 차량에서는 ABS(anti-lock braking system)와 같은 첨단 제어 시스템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브레이크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디스크, 그리고 유압 시스템입니다
5. 구동 시스템(Power-train)
구동 시스템은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여 차량을 움직이게 합니다. 이는 엔진, 변속기, 드라이브 샤프트, 그리고 디퍼렌셜 기어로 구성됩니다. 연료계통과 냉각계통, 배기계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취업 > 자동차 이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의 분류와 특징 (0) | 2023.11.23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