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취업/자동차 이론 정리2

[자동차 구조] 바디와 섀시 자동차 구조를 대분류로 나눈다면, 바디(Body)와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디와 섀시는 함께 자동차의 구조를 이룹니다. 바디는 승객을 보호하고 차량 외관을 담당합니다. 섀시는 차량의 기계적 부품을 통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서 가장 기본적인 자동차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차체(Body)Body on Frame강철 재질의 H형 프레임 위에 차체를 얹는 형식을 말합다. 무거운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로 대형 트럭 등에 사용됩니다. 서브프레임(Sub frame)강철 프레임 없이 외형 철판이 용접되어 구조물을 지탱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초기에는 Monocoque로 불리었으나, 현재는 서브 프레임 역할을 하는 구조가 합쳐진 형태인 Uni-body(Sem.. 2024. 11. 13.
[친환경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의 분류와 특징 지구온난화로 세계 각국은 탄소 감축 정책을 늘리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조는 상당량의 탄소를 내뿜고 있는 자동차 산업으로 향했고, 많은 차량 메이커들은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을 더 효율적으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신에너지 자동차인 배터리 전기차(BEV), 수소전기차 등이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 배터리와 모터를 추가 장착하여, 주행에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차량이다. 낮은 동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엔진 대신 모터를 작동해, 작은 용량의 배터리로도 주행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장점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차량 주행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제동시 일부 에너지를 회생시켜 주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차량에서는 엔진으로 배터리 .. 2023. 1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