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경제적 자유 & 기록14 사회초년생 1억 달성 이후, 자산은 어떻게 불어났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보쓸모입니다.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파이어를 꿈꾸면서 자산을 모아 왔는데요. 3년 만에 1억이라는 자산을 만들면서 정말 많은 걸 배웠습니다. 주변에선 '너무 유난스럽다', '티끌 모아 티끌이다.'라는 말도 가끔 들었지만, 저에게는 자유롭게 제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날에 한 발짝 더 가까워진다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1억 달성 이후, 반년의 시간이 흘렀는데 그동안 자산이 어떻게 더 성장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깨달은 점들을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21년부터 24년까지, 1억 달성 2021년 대학생 시절 코로나19로 자산 가격이 급등하는 것을 보면서, 근로소득만으로는 자산을 키우기 어렵다는 현실을 실감했습니다. 그래서 ‘나를 지켜줄, 그리고 .. 2025. 7. 2. 25년 6월 장기 투자 프로젝트 현황 (연금저축&IRP, ISA투자, 미국배당주, 레버리지)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보쓸모입니다. 6월 한국 주식시장은 대선 이후 정권 안정화와 상법 개정 추진으로 활기찼습니다. 6월 초 코스피 2,800선 돌파 후 3,100까지 밀어 올랐습니다. G20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죠. 반면 미국 시장은 S&P500은 약 5% 상승, 나스닥 6.6% 상승하며, 관세 쇼크 이후 지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랠리가 이어지면서 투자 심리가 회복된 모습이네요. 앞으로 미국 중간선거로 인해 트럼프가 유보적인 스탠스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판단이 우세하기에 추가 상승장이 기대되기도 합니다. 2025.05.27 - [경제/경제적 자유 & 기록] - 25년 5월 장기 투자 프로젝트 현황 (연금저축&IRP, IS.. 2025. 7. 2. 25년 5월 장기 투자 프로젝트 현황 (연금저축&IRP, ISA투자, 미국배당주, 레버리지)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보쓸모입니다.5월 한 달 동안 금융시장을 흔드는 뉴스가 있었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잠시 유예를 선언하면서 증시가 안정을 찾았는데요. 이런 와중에 무드시(Moodys)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소 Aa1으로 한 단계 강등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무디스는 미국의 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재정 건전성이 구조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봤습니다. 단순한 단기 이슈가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장기적인 문제라는 거죠.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 → 달러 가치 변동 → 글로벌 자산시장 영향 → 개인 투자자 자산 흐름 변화 와 같은 연쇄 반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미국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과연 트럼프 .. 2025. 5. 27. 25년 4월 장기 투자 프로젝트 현황 (연금저축&IRP, ISA투자, 미국배당주, 레버리지)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보쓸모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90일 동안 유예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장은 관세 전쟁의 긴장이 완화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를 받아들였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외 증시가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관세 전쟁이 완전히 종식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단정 짓는 것은 다소 위험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중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향후 관세 전쟁의 전개 방향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앞으로의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며, 향후 변화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입니다. 2025.03.28 - [경제/경제적 자유 & 기록] - 25년 3월 장기 투자 프로젝트 현황 (연금저축&IR.. 2025. 4. 29. 25년 4월 2일 트럼프 관세 전쟁 기록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보쓸모입니다. 4월 2일 트럼프가 주요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했죠. 이에 시장이 크게 붕괴했습니다. 휴대폰 알림 창도 엄청 울리더라고요. 이렇게 시장이 빠지는 건 제가 주식 투자를 한 이후 처음 겪는 일이네요. 이에 이번 트럼프 관세 전쟁을 기록하는 포스팅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추후 트럼프 관세 전정애 어떻게 흘러가게 될지 궁금하네요. 시작된 관세 전쟁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미국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기본 관세 10%를 부과하고,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국가들에 대해 최대 49%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통해 미국 경제를 .. 2025. 4. 1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