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초년생 정보12 [세금] 이직자, 중도 퇴사자 5월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보쓸모입니다. 오늘은 회사를 이직한 사람들이 종합소득세를 어떻게 신고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직장인(근로소득자)은 연말정산 하잖아? 꼭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근로소득자는 연초에 연말정산을 통해 직전 연도 소득세 신고 및 납부 의무를 이행합니다. 하지만 직장인이라도 근로소득 말고 따로 투자 양도 소득이 발생했거나, 사업 소득이 있을 경우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수한 상황이 있는데요. 바로 이직 및 퇴직을 하는 경우입니다. 연말정산은 사실 회사에서 소득세 신고를 대행해 주었던 거고, 회사를 나왔으면 대행해 주던 회사가 없어진 것이니 개인이 따로 직접 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이직자 및 중도퇴사자의 종합소득세 신.. 2025. 5. 7. [연말정산] 정치후원금으로 세액공제 받기 (10만원 전액 세액공제) 윤석열 대통령이 24년 12월 03일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했죠. 그날 이후 국정이 마비되고 금융시장이 경색되었습니다. 환율도 1440원대까지 치솟는 걸 보며, 우리나라 경제가 너무나도 걱정되었습니다. 이런 위법한 비상계엄령을 주둔하는 국민의힘은 끝내 탄핵 투표에도 참여하지 않았죠. 그래서 이번 정치후원금은 야당에 후원하려고 합니다. 솔직히 정치에 무지하고 일단 나부터 잘 살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살아왔는데, 이건 정말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정치후원금으로 세액공제를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제 후원금이 부디 비이성적인 현 상황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정치후원금정치자금인 후원금, 기탁금, 당비로 후원하면,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되고, 10만원 초과분은 15%(3,000만원 초과 금액은 25%).. 2024. 12. 8.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세액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이전 포스팅에서 연말정산, 소득공제 개념과 소득공제 준비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액공제에 관한 준비 방법과 내용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2024.12.06 - [사회초년생 정보] -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소득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소득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12월 달 직장인에게 가장 중요한 달이죠. 2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되돌려 받는지, 토해내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간입니다. 오늘은 저의 연말정산 준비 계획을 설명드리면서, 직장인(근로소probably-useful.tistory.com 세액공제세액공제는 소득공제로 제한 과세표준 기준으로 세율을 곱해 나온 세금.. 2024. 12. 6.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소득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12월 달 직장인에게 가장 중요한 달이죠. 2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되돌려 받는지, 토해내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간입니다. 오늘은 저의 연말정산 준비 계획을 설명드리면서, 직장인(근로소득자)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게 잘 준비하셔서 13월의 월급을 쟁취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간략하게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개념을 설명했지만, 방법만 알고 싶으시다면, 소비(신용카드, 체크카드 소득공제)부터 봐주시면 됩니다!연말정산이란?연말정산은 이미 납부한 세금인 기납부세액과 납부했어야 하는 세금인 결정세액을 비교해 차액에 해당하는 급액을 돌려바거나 지급하는 과정입니다. 말이 어렵지만, 단순하게 월급 받을 때 미리 가져간 세금을 정산하여 너무 많이 가져왔으면 다시 .. 2024. 12. 6. 연말정산 10만원과 답례품 3만원 받는 방법 - 고향사랑기부제 직장인이라면 2월 연말정산을 위해 소득공제, 세액공제받으려고 다양한 절세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연금저축, IRP, 기부 등 다양한 공제 방법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인 고향사랑기부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고향사랑기부제란 개인이 고향(지자체)에 기부하고, 지자체는 이를 모아서 주민 복리에 사용하는 제도입니다. 지방재정을 확충하고, 지역특한품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좋은 취지의 제도입니다. 기부는 개인만 가능하며, 개인당 연간 500만 원까지 기부가 가능합니다. (25년부터는 연간 20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기부금은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10만 원 초과분은 16.5%만 세액공제로 들어가게 됩니다. 답례품으로는 기부액의 30.. 2024. 10. 1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