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초년생 정보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세액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by 보보쓸모 2024. 12. 6.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연말정산, 소득공제 개념과 소득공제 준비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액공제에 관한 준비 방법과 내용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2024.12.06 - [사회초년생 정보] -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소득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연말정산] 13월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준비하기(소득공제 편)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12월 달 직장인에게 가장 중요한 달이죠. 2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되돌려 받는지, 토해내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간입니다. 오늘은 저의 연말정산 준비 계획을 설명드리면서, 직장인(근로소

probably-useful.tistory.com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소득공제로 제한 과세표준 기준으로 세율을 곱해 나온 세금에 공제를 해주는 개념입니다. 즉, 세액공제는 세금내야 할거에서 공제해 주겠다는 것입니다.

 

세액공제도 소득공제와 같이 개인마다 적용되는 공제 범위가 다른데요. 근로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교육비 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 등 다양한 공제가 있습니다. 해당 개념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근로자에게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세액공제 방법만 집중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계좌세액공제(연금저축계좌, IRP)

연금세액공제는 정부가 개인의 노후 대비를 장려하기 위해 있는 제도입니다. 연금계좌에 일정 금액을 납부하면 해당 금액만큼 세액공제로 돌려주는 개념입니다.

 

현 24년 기준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는 900만원입니다. 총 급여 수준에 따라 세액공제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총 급여 세액공제율 최대세액공제 금액
5,500만원 이하 16.5% 148만 5천원
5,500만원 초과 13.2% 118만 8천원

 

저는 최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 연금저축계좌에 600만원, IRP 계좌에 300만 원 총 900만 원 최대한도로 납부해 최대세액공제를 받을 예정입니다.

 

저는 현재 2년 동안 총 1,800만원 납부로 작년에 148만 5천원, 올해 118만 8천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예정입니다. 2년동안 총 2,673,000원의 혜택을 챙겼네요. 이걸 투자로 생각하면 웬만한 투자 상품보다 높은 수익률을 챙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연금저축계좌와 IRP는 비과세, 과세이연 등의 혜택도 존재하기에, 이 계좌에서 장기투자하면 그만큼의 추가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저는 연금계좌로 지수투자를 진행하고 장기적으로 쭉 가져갈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게 2년을 투자한 결과 +24.7%, +4백만 원의 수익을 볼 수 있었습니다.(한 번도 매도 없이 적립식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2년간 연금계좌를 운용하면서, TOTAL +7,122,0050원 수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연금계좌는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바로 중간 인출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중간 인출은 가능하나 세금 혜택 받은 것을 토해내야 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목돈이 필요하신 분들은 연금계좌 운용에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SA 계좌 만기 시, 연금계좌로 이관하기

많은 사람들이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고 ISA 계좌를 이용하시고 있으실 텐데요. ISA계좌는 순수익 200만 원 비과세 + 초과 수익분 9.9% 분리과세 혜택을 가지는 엄청난 비과세 계좌죠. 그런데 여기에 추가적으로 혜택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만기 시 연금계좌로 이관하면 추가 세액공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ISA계좌 의무가입기간인 3년 만기를 채우시고 연금계좌로 이관하시면, 이체 금액의 10%(최대 300만 원 한도)까지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즉, 3년 만기 기준 ISA계좌에 6,000만 원을 납입했다는 기준에서 10%(최대 300만 원 한도)가 적용되어 300만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게 되 ISA 이체로 받는 300만 원 + 연금계좌 세액공제 900만 원이 적용되어, 총 1,200만 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ISA계좌 금액을 연금저축계좌로 옮기면, 너무 큰돈이 묶인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세액공제를 받지 않는 즉, 300만 원 제외한 금액은 이듬해 7월 지나고 중도인출이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상세히 설명해 놓았습니다.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4.09.03 - [사회초년생 정보] - [투자] ISA계좌 만기금액 연금저축에 이전하기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투자] ISA계좌 만기금액 연금저축에 이전하기 - 방법 및 Tips, 나의 계획

ISA계좌는 만능통장으로 불리죠. 수익의 2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고, 초과분 9.9%를 분리과세받을 수 있으니까요. 이외에도 ISA계좌로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바로 ISA 의무 가입 기간

probably-useful.tistory.com

 

결론적으로, 3년마다 300만 원 추가 세액공제 찬스가 있으니, 이를 놓치면 안 되겠죠!!

 

 


고향사랑기부제 & 정치후원금

고향사랑기부제는 년에 10만 원만 딱 하시면 됩니다.10만 원 전액 세액공제받을 수 있고, 3만 원가량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등본 상 거주지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에 기부할 수 있으니 혜택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정치후원금도 연에 10만 원만 딱 하시면 됩니다. 거의 전액 세액공제받을 수 있으니,  자기가 지지하는 정당에 후원하면 좋겠죠.

 

고향사랑기부제 참여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 상세히 정리해 놓았습니다.

2024.10.13 - [사회초년생 정보] - 연말정산 10만 원과 답례품 3만원 받는 방법 - 고향사랑기부제

 

연말정산 10만원과 답례품 3만원 받는 방법 - 고향사랑기부제

직장인이라면 2월 연말정산을 위해 소득공제, 세액공제받으려고 다양한 절세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연금저축, IRP, 기부 등 다양한 공제 방법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인 고향

probably-useful.tistory.com

 


아름다운 가게 옷 기부

 

연말 되면 옷장 정리 한 번씩 꼭 하는데, 이 옷들 헌 옷수거함에 그냥 버리시나요? 아름다운 가게에 옷을 기부하면 기부금 명목으로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안 입는 옷 싹 정리하시고 세액공제받으시기 바랍니다.

 

저는 올해 총 3번 참여해서 기부금 총액 176,320원에 해당하는 금액의 15%만큼 세액공제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부 영수증

 

 

https://m.blog.naver.com/beautifulcup/223289071492

 

[안내] 2023 아름다운가게 기부영수증 발급 안내

2023년, 올 한해도 많은 시민 여러분들의 참여가 있었기에, 나눔과 순환으로 아름다운세상을 만들 수 있었...

blog.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