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취업162

리튬이온배터리 구조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 리튬이온배터리는 크게 음극, 양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분된다. 음극 음극 소재는 흑연, 실리콘, LTO 등이 있다. 흑연은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음극재로 층상구조를 대게 6층 가지고 있다. 이 층 사이에 Li원자가 저장된다. 층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LTO보다 원자의 출입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와 같은 흑연 음극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LTO가 개발되었다. LTO는 작동 전압이 1.3 ~ 1.6V로 기존의 탄소계 음극재에 비해 높고 가역 용량은 170mAh/g정도로 작다는 단점이 있으나, 고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비가역 반응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초기 효율 95%이상), 반응열이 매우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소 재료의 경우 이론 밀도가 약 2 g/cm3정도로 낮으나 L.. 2023. 2. 19.
리튬이온배터리와 EDLC 배터리의 구분 배터리는 1차전지와 2차전지로 나누어진다. 1차전지는 사용 후 충전이 안 되는 전지를 말한다. 2차전지는 사용 후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한다. 이차전지의 구분 2차전지는 리튬이온배터리와 EDLC로 나누어진다. 리튬이온배터리는 화학적 결합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EDLC는 활성탄에 Li 이온 전자가 물리적 흡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그림과 같이 EDLC에서 사용하는 활성탄(Activated carbon)은 다공성이기 때문에 Li원자가 더 쉽게 붙고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충/방전이 빠를 수 있게 된다. 2023. 2. 19.
LTO배터리란? LTO배터리 LTO배터리 : 음극의 재료로 Lithium titanate oxide(리튬 티탄산화물)가 사용된 이차전지의 일종이다. LTO배터리 vs 이차전지 보통 이차전지에서는 음극으로 흑연(graphite)을 사용한다. 흑연은 구조적으로 안정성과 낮은 전자 화학 반응성, 많은 리튬 이온 저장 능력, 저렴한 가격 등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흑연은 보통 그래핀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매우 강력한 구조이다. 이런 층은 대신 느슨하게 Stack 되어 있으며 층과 층의 공간 사이에 리튬이 intercalate 즉 층간 결합을 수행한다. 흑연의 대안으로 사용되는 음극의 재료는 LTO가 있다. LTO는 Lithium titanate oxide(리튬 티탄산화물)이 사용된다. LTO는 스피넬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 2023. 2. 19.
슈퍼커패시터란? (Super capacitor) 슈퍼커패시터 커패시터 : 전기를 저장했다가 꺼내 쓸 수 있는 축전기를 의미한다. 슈퍼커패시터 : 초고용량 커패시터를 의미한다. 에너지를 저장한다는 개념은 이차전지와 유사하지만 작동 메커니즘 자체가 다르다. 이차전지는 전기를 가지고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이온의 화학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라면, 슈퍼커패시터는 전기를 끌어와 그대로 저장하는 개념이다. 즉, 이온의 물리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전해질이 있으며, 전극에는 이온의 흡탈착을 위한 활성전극이 결합되어 있다.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면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끌려가 전극에 달라붙는다.이 과정이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차전지에 비해 전자가 전극에 달라붙는 밀도가 낮아 용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하지만 충전.. 2023. 2. 19.
태양광 발전 사업 구조 태양광 발전 수익구조 전력판매수익은 계통한계 가격인 SMP와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인 REC로 구성되어 있다. * SMP(System Marginal Price) *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따라서 태양광 발전 사업자는 한국전력공사에 전력을 판매하고 SMP를 지불받게 되고, 공급의무발전사(화력, 원자력 발전사)에게 REC를 받게 된다. REC 거래 공급 의무사 REC 거래 공급 의무사는 50만kW 이상의 발전 설비(신재생에너지 설비 제외)를 보유한 자 및 수자원공사, 지역난방공사를 의미한다. 현재 22개 발전사 대상으로 시행 중이고, 한전 발전자회사 6개사, 민간 발전사업자 14개사, 공공기관 2개 사가 포함되어 있다. 한전 발전자회사 6개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2023. 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