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공정(Deposition)
- 실리콘 웨이퍼 기판 위에 얇은 박막(Thin film)을 성장시키는 공정이다. 다양한 재료를 증착하여 반도체의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 증착 방법에는 화학기상증착(CVD), 물리기상증착(PVD), 스핀 온 증착(Spin-on deposition), 도금(Electroplating) 등이 있다.
* 박막 : 단순한 기계 가공으로는 실현이 불가능한 1 ㎛ 이하의 얇은 막

박막 공정 방법
- 물리기상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 주로 금속 증착에 적용된다. 대표적으로 Sputtering, Evaporation 등의 증착 방법이 있다.
- 화학기상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 주로 실리콘이나 유전체 증착에 적용된다. Step Coverage가 PVD보다 좋은 장점이 있다.
- Spin-on deposition(SOG, Spin-on-Glass) : 액체형 소스를 코팅할 때 적용한다.
- 도금(Electroplating) : 구리 배선 등에 증착한다.
박막공정 평가 기준
Quality(품질) : 전기적, 물리적 특성의 전반적인 막 품질
Uniformity(균일도) : 증착 된 Film의 두께 균일도
Surface Smoothness : 표면 거칠기

Step Coverage(Conformality) : 단차에서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지의 여부. Step Coverage를 우수하게 하려면 고진공에서 공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고진고일수록 증착 소스가 웨이퍼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Mean free path가 길어져 증착의 균일성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2023.03.26 - [취업/반도체 이론 정리] - 물리적 기상증착법 (PVD) (박막공정)
물리적 기상증착법 (PVD) (박막공정)
물리적 기상증착법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물리적 기상증착법 PVD는 증착하고자 하는 재료를 진공 챔버 내부에서 증발 또는 스퍼터링을 시켜 기판 위에 증착하는 공정 방법이다. PVD 방법은 소스
probably-useful.tistory.com
2023.03.26 - [취업/반도체 이론 정리] - 화학적 기상증착법 (CVD) (박막공정)
화학적 기상증착법 (CVD) (박막공정)
화학적 기상증착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적 기상증착법 CVD는 형성하고자 하는 박막 재료를 구성하는 원소 가스를 기판 위에 공급해 기상 또는 기판 표면에서 열분해, 광분해, 산화환원반
probably-useful.tistory.com
2023.03.26 - [취업/반도체 이론 정리] - PVD와 CVD의 장단점
PVD와 CVD의 장단점
PVD 물리적인 힘에 의해 대상 물질을 기판에 증착하는 방법이다. 장점 공정 메커니즘이 단순하며, 안정적인 공정 구현이 가능하다. 증착물질에 가열하기는 하지만 웨이퍼는 상대적으로 저온이어
probably-useful.tistory.com
'취업 > 반도체 이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적 기상증착법 (CVD) (박막공정) (0) | 2023.03.26 |
---|---|
물리적 기상증착법 (PVD) (박막공정) (0) | 2023.03.26 |
알루미늄과 구리의 재료 특성 (금속 배선 공정) (0) | 2023.03.24 |
구리 배선 공정 이슈 (금속배선공정) (0) | 2023.03.24 |
알루미늄 배선 공정 (금속배선공정)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