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배당 투자] 배당 투자에 꼭 필요한 필수 개념 (with 배당주로 월 500만원 따박따박 받는 법)

by 보보쓸모 2024. 8. 17.
반응형

배당 투자를 하면서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배당주로 월 500만원 따박따박 받는 법]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배당주

배당금

배당금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이 누적되어 만들어진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주주에게 분배하고자 지급하는 돈입니다.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을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나눠주는 것이기에, 배당금을 꾸준히 늘리는 기업은 영업활동을 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당배당금

주당배당금이란 한 기업의 총 배당금을 발행주식의 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식 한 주당 지급되는 배당금을 의미합니다.

주당배당금 = 총 배당금 ÷ 발행주식 수

 


배당성장률

배당성장률은 일정 기간 동안 주당배당금이 얼마나 늘어났는지 의미하는 것입니다. 배당성장률은 배당 투자자에게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배당성장률에 따라 복리효과가 결정되기 때문이죠.

연간 배당성장률 = (해당 연도 배당금 - 기준연도 배당금) ÷ 기준연도 배당금

 

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

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은 주가에 비해 배당금을 얼마나 많이 주는지를 의미합니다. 배당수익률이 10% 이상이면 고배당주, 4~5%면 중배당주, 2% 이하면 저배당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 = 주당배당금  ÷ 주가 
  초고배당주 고/중배당주 배당성장주(저배당주)
구분기준 배당수익률 10% 이상 배당수익률 4~5% 이상 배당수익률 1~2%
강점 높은 배당금 적당한 수준의 배당금과 주가성장률 높은 주가 성장률
약점 낮은 주가성장률 낮은 배당금
추천전략 은퇴자 등 가까운 시일 내에 현금흐름을 확보해야 하는 경우 적당한 수준의 안정적 투자를 원하는 경우 당장의 현금흐름보다 장기적 미래를 대비하려는 경우

배당성향

배당성향은 기업이 주주에게 얼마나 배당을 잘해주는지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어떤 기업이 일정 기간에 기록한 당기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로 계산하게 됩니다.

배당성향 = 배당금 총액  ÷ 당기순이익

 


배당기준일

배당기준일은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기준일을 의미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주식을 매수하는 날짜와 실제 주주명부에 등록되는 날짜가 다르다는 점이다. 국내 주식은 매수날로부터 3 거래일째 되는 날, 미국 주식은 4 거래일 때 되는 날 주주명부에 정식 등록된다.


배당락

배당락은 배당기준일이 가까워지면 배당금을 받으려고 종목을 매수하려는 매수자가 많아지면서 주가가 오르고, 배당기준일이 지나면 다시 매도자가 늘어나 주가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2024.08.17 - [경제] - [독서] 배당주로 월 500만원 따박따박 받는 법 - 김수현(아린), 독후감

 

[독서] 배당주로 월 500만원 따박따박 받는 법 - 김수현(아린), 독후감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은 여자친구 책장에서 쓱 빌려와서 읽게 되었습니다. 월 50만 원으로 배당주 투자를 계획하고 있어서 그런지 눈길이 가더라고요. 전체적으로 저자가 직접

probably-useful.tistory.com

 

반응형

댓글